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지원사업
사업목적
임신에서 출산에 이르는 주산기 (임신 20주∼출생4주) 동안 고위험 산모와 태아, 신생아가 체계적이고 전문적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산과·소아청소년과의 통합 치료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건강한 임신·출산을 지원합니다.
고비용·저수익으로 의료기관이 스스로 진입하기 어려운 고위험 임신·분만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투자하여, 이에 부합하는 수가 개발, 의료인력 및 시설 표준 정립 등 제도화 기반을 마련합니다.
고비용·저수익으로 의료기관이 스스로 진입하기 어려운 고위험 임신·분만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투자하여, 이에 부합하는 수가 개발, 의료인력 및 시설 표준 정립 등 제도화 기반을 마련합니다.
-
고위험 산모와 태아
신생아의 전문적인 치료 -
고위험 임신·분만
인프라 구축에 투자 -
의료인력 및 시설
표준 정립 등 제도화
사업대상
- 상급종합병원 또는 대학병원급 어린이병원
- 신생아 집중치료실(NICU) 20병상 이상
- 연간 분만실적 100건 이상 운영 병원

지원범위
- 시설·장비비 : 10억원(1차년도)
- 운영비 : 3억원(2차년도 이후)

설치기준
구분 | 필수 인력 기준 | 필수 주요 시설 | 필수 주요 시설 기준 |
---|---|---|---|
산모-태아 치료부 |
산과 전문의 4명 이상 - 산부인과 전문의 24시간 대기 상주 전공의(3~4년차) 또는 전문의 1명 이상 - 산부인과 고년차 전공의 또는 전문의 24시간 상주 마취과 전문의 24시간 On-call 대기 산모·태아집중치료실은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기준을 1.5:1 유지 (산부인과 및 분만장 이외의 별도 독립 인력, 예시) 6병상 4명 |
산모-태아 집중치료실(MFICU) 산모-태아 수술실 분만실 |
5병상 이상 1개실 이상 2개실 이상 |
신생아 치료부 |
신생아 세부전문의 2명 이상, 신생아 전공의 2명 이상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등급 6등급 중 3등급 이하(1~3등급) |
신생아 집중치료실(NICU) 신생아 소생실 |
1개실(20병상) 이상 1개실 이상 |
사업기관현황
번호 | 선정 연도 |
사업 기관수 |
권역 | 병원명 | 병상수 | 분만 수술실 |
분만실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신생아 집중치료실 (NICU) | 산모·태아 집중치료실 (MFICU) | |||||||
1 | 2014 | 3 | 강원 | 강원대병원 | 20 | 9 | 1 | 2 |
2 | 대구·경북 | 계명대 동산병원 | 35 | 6 | 2 | 2 | ||
3 | 대전·충남·세종 | 충남대병원 | 34 | 5 | 1 | 2 | ||
4 | 2015 | 3 | 부산·울산·경남 | 인제대 부산백병원 | 35 | 12 | 1 | 2 |
5 | 충북 | 충북대병원 | 25 | 5 | 1 | 2 | ||
6 | 전북 | 전북대병원 | 25 | 5 | 1 | 2 | ||
7 | 2016 | 3 | 서울 동남 | 삼성서울병원 | 59 | 11 | 2 | 3 |
8 | 경기 남부 | 분당서울대병원 | 40 | 8 | 1 | 3 | ||
9 | 광주·전남 | 전남대병원 | 45 | 12 | 1 | 3 | ||
10 | 2017 | 3 | 인천 | 가천대 길병원 | 30 | 5 | 1 | 2 |
11 | 대구·경북 | 칠곡경북대병원 | 31 | 6 | 1 | 2 | ||
12 | 부산·울산·경남 | 양산부산대병원 | 34 | 7 | 1 | 2 | ||
13 | 2018 | 4 | 서울 서북 | 서울대병원 | 43 | 5 | 2 | 2 |
14 | 경기 북부 |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| 20 | 5 | 1 | 2 | ||
15 | 경기 남부 | 고려대 안산병원 | 25 | 8 | 1 | 2 | ||
16 | 부산·울산·경남 | 경상대병원 | 25 | 5 | 1 | 3 | ||
17 | 2019 | 3 | 서울 동북 | 고려대 안암병원 | 20 | 8 | 1 | 3 |
18 | 서울 서남 | 고려대 구로병원 | 20 | 8 | 1 | 2 | ||
19 | 경기 남부 | 아주대병원 | 36 | 7 | 1 | 2 |